시사&상식 용어

수요와 공급의 법칙(+가펜재, 편승/스놉/베블런 효과)

Ilhoon 2019. 1. 16. 17:39

금융 4째입니다 경제 상식에 대해서 연재?를 해볼게요~

 

수요·공급의 원리

 

· 수요법칙 : 가격효과(대체효과 + 소득효과)란 제품의 가격이 변하면 소비자의 소비량도 변하는 현상

 

· 수요의 증가 : 소득의 증가, 인구의 증가, 대체재 가격 상승, 보완재 가격 하락, 기호 및 선호 증가

 

· 수요의 감소 : 소득의 감소, 인구의 감소, 대체재 가격 하락, 보완재 가격 상승, 기호 및 선호 감소

 

· 휘발유 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은? 생산비용의 하락(X), 원유가격의 인하(X) (둘 다 공급을 증가시킴)

 

· 수요량 변화 : 쇠고기 값 상승

 

· 수요곡선 변화 : 경기 침체에 의한 소득 감소. 쇠고기의 대체재인 돼지고기 값 하락, 소와 돼지 구제역의 확산 및 대대적 살처분

 

· 커피 가격의 상승은 커피에 대한 수요량을 감소시키고, 보완재 관계에 있는 커피크림의 수요가 함께 감소한다. 따라서 예전과 동일한 수요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피크림의 가격이 하락해야 한다.

 

· 정상재 : 소득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수요 증가(감소)하는 재화(cf. 열등재)

 

· 어느 재화가 열등재이더라도 한계효용은 양(+)의 값을 갖는다.

 

· 기펜재 : 가격과 수요량이 비례관계(열등재의 한 종류, 수요 법칙 예외)

 

· 주택을 임대하는 사람의 경우 소득이 증가할수록 더 넓은 임대주택에 살고자 할 것이기 때문에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택을 임대하는 데 지출하는 돈이 늘어날 것입니다(정상재). 그러나 어느 소득 수준 이상이 되면 주택을 임대하기보다는 주택을 구입하여 생활할 것이며, 이에 따라 일정 소득 이상에서 소득이 증가할수록 주택을 임대하는 데 지출하는 돈이 줄어들 것입니다(열등재).

 

· 공급의 증가 : 생산비(요소가격) 감소, 미래 낙관, 상품의 증산 추구, 기술 혁신

 

· 공급의 감소 : 생산비(요소가격) 증가, 미래 비관, 상품의 감산 추구

 

· 공급 곡선이 수평인 이유 중 하나는 생산 비용이 일정한 경우이다.

 

· 균형거래량 :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cf. 초과공급, 초과수요)

 

· 초과수요 상태에서는 가격이 상승하고, 초과공급 상태에서는 가격이 하락한다.

 

· 비기능적 수요 : 편승 효과(밴드왜건 효과), 스놉 효과, 베블런 효과

 

· 편승 효과 : 많은 사람들이 소비하는 재화를 나도 덩달아 소비하는 것(유행)

 

· 스놉 효과 : 많이 팔리는 제품에 대해 소비량을 줄이는 현상( 편승 효과)

 

· 베블런 효과 : 재화 가격이 상승할 때 오히려 해당 재화의 소비가 증가하는 형상 (대체제와는 연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