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상식 용어

소비자와 기업 선택의 모든 것~

Ilhoon 2019. 1. 16. 17:50

금융 4째의 경제 상식~

 

1. 소비자 선택

 

· 비자 잉여 :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을 금전으로 환산했을 때, 거래를 통해 증가된 만족으로 평가한 것

 

· 생산자 잉여 : 공급자가 실제로 받은 금액에서, 최소한 얻고자 했던 금액을 뺀 나머지 금액(이윤 + 고정비용)

 

· 총 잉여(사회적 잉여) : 소비자 잉여 + 생산자 잉여 (거래가 활성화될 경우 사회 전체적인 잉여 증가)

 

 

· 정부가 에너지 효율 높이기 위해 백열전구 가격 인상 > 백열전구 가격은 가격 인상한 만큼 상승하므로 세금은 소비자에게 더 전가될 것이다. 에너지 효율 높은 다른 전구 사용량 증가하고, 해당 상품이 탄력적일수록 정책 효과가 더 크다. 정부가 조세 부과해서 이렇게 개입할 경우 소비자잉여·생산자 잉여는 감소한다.

 

· FTA 등으로 시장 개방 > 소비량 증가, 시장가격 하락, 국내 산업 고용량 감소, 국내 생산자 총잉여 감소

 

· 상품시장에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상품 단위당 일정 금액의 세금을 공급자에게 부과할 때 나타나는 효과 : 소비자 잉여, 생산자 잉여, 사회적 후생 모두 감소

 

 

2. 기업 선택

 

· 규모의 경제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평균비용이 하락하는 현상

 

· 생산 증가에 따른 원재료 투입효과는 규모의 경제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니다. 규모의 경제는 원재료와 같은 변동비가 아니라 설비투자와 같은 고정비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절감되는 효과이다.

 

· 구매력 증가에 따른 교섭력 강화와 자본비용 절감은 규모의 경제 원인이 맞다.

 

· 생산량이 1% 증가할 때 비용이 1%보다 덜 증가한다면 평균비용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게 되고 이는 규모의 경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이와 대칭적인 개념으로 투입요소 1%가 증가할 때 생산량이 그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규모수익체증, 수확체증이 존재하며 이는 규모의 경제가 존재한다는 것과 동일한 말이다.

 

· 규모의 불경제 :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장기평균비용이 상승하는 현상

 

· 기업의 설비 규모가 너무 커지면 장기평균비용이 상승하는 규모의 불경제 발생

 

 

· 가계소득을 모두 합한 것을 분배국민소득이라고 한다. (생산국민소득 X)

· 경제주체의 지출한 급액의 합계를 지출국민소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