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4째입니다 경제 상식에 대해서 연재?를 해볼게요~
합리적 선택
· 경제재 : 희소성을 가진 자원 ( ↔ 자유재), 시대에 따라 변하기도 함 (저작물 : 경제재 → 자유재)
· 희소성은 절대적인 재화의 양과 관계가 없다.
· <3-2>는 공급자가 기술 혁신을 한 경우, 가격 수준이 낮아져 시장의 균형 가격이 형성될 수 있다.
· 경제학의 3대 문제 :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 + 언제 생산할 것인가
· 효율성 : MC(한계비용) = MR(한계수익, 한계편익) (cf. 한계효용 : 1단위 늘어날 때마다 느끼는 만족)
· 한계효용의 증감에 무관하게 한계효용이 0보다 크면(작으면) 총효용은 증가한다(감소한다).
· 한계효용 = 한계효용 ÷ 재화의 가격 에 따라 효용 극대화를 추구해야 한다.
· X재를 한 단위 더 소비할 때 소비자의 한계효용이 감소한다면 총효용도 감소한다. (X) (0보다 작아야 감소)
· 평균효용이 극대가 될 때 평균효용과 한계효용은 일치한다. (O)
· 재화의 교환가치는 총효용이 아니라, 한계효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 기회비용 : 포기된 대안 중 가장 가치가 큰 것(순액이 아닌 총액으로 계산)(cf. 매몰비용(콩코드 오류))
· 경제적 비용 : 회계상 비용 + 기회비용(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 + 정상이윤)
· 정상이윤 : 해당 경제 활동을 계속해서 유지하게 하는 유인으로서 충분할 정도의 이윤(기회비용에 포함)
'시사&상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의 탄력성의 모든것 (0) | 2019.01.16 |
---|---|
수요와 공급의 법칙(+가펜재, 편승/스놉/베블런 효과) (0) | 2019.01.16 |
테뉴어보팅 (tenure voting)이란? (0) | 2019.01.16 |
빅블러(Big Blur)란? (0) | 2019.01.16 |
주식시장의 안전장치!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VI (기출문제)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