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상식 용어

주식시장의 안전장치! 서킷브레이커, 사이드카, VI (기출문제)

금융 둘째 2019. 1. 16. 11:13

변동성이 큰 주식시장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두 요소는 바로 기업의 실적과 참여자의 투자 심리입니다. 특히 투자 심리는 급격하게 과열되거나 위축되기 쉬운데요,  만약 완충 장치가 없다면 주식이 요동칠 때 투자자들이 휩쓸려 마구 팔아치우거나 사들여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락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시장 전체의 패닉으로 이어지며 경제는 대 혼란에 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한 제도로 일명 완충 장치인 서킷브레이커, VI(변동성 완화장치), 사이드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s)

서킷브레이커는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하여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회로 차단기에서 유래된 제도입니다.

주식에서는 외부 충격으로 투자 심리에 과도한 변화가 생겼을 때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하여 비이성적 흐름을 막아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서킷브레이커는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할 때 주식시장 자체에서 주식거래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입니다. 이때의 주가 변화란 전일 대비 주가지수가 10%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하며 발동 시 모든 주식거래를 20분간 중단시킵니다. 발동 주체는 한국거래소이며 개장 5분 뒤부터 오후 2시 20분 사이에 하루 한 번만 발동할 수 있습니다.



VI(변동성 완화 장치)

개별 종목의 주가지수가 급락 또는 급등하는 것을 막기 위해 특정 종목 주가가 급변할 시 2분간 단일가 매매 방식을 적용하는 제도입니다.

*단일가 매매란?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일정 시간 동안 투자자의 주문을 모아 일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 투기성 추종매매를 억제하고 미확인 정보에 의한 비정상적 과열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서킷브레이커의 적용 범위가 주식 시장 전체라면, VI는 개별 종목 각각에 적용됩니다. 


사이드카(Side Car)

사이드카(Side car)는 자동차가 도로를 달리다가 교통 체증이 심할 시 갓길에 잠깐 주차해놓고 쉬는 모습에서 비유한 표현입니다. 

 주식 시장의 미래 가격을 의미하는 선물 지수가 급변할 때 현물 시장의 혼란을 미리 방지하게 위해 잠깐 프로그램 매매를 멈추는 제도입니다.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급변 상태가 1분간 지속될 시 프로그램 매매 호가의 효력이 정지됩니다. 5분이 지난 후 매매체결이 다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서킷브레이커와 마찬가지로 하루 한 번만 발동 가능합니다.

서킷브레이커가 사후조치라면 사이드카는 예방 차원에서 이루어집니다.

주식 시장 증시가 변한 후 차단하는 제도가 서킷브레이커라면, 사이드카는 선물 주가가 현물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전 미리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출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416173&memberNo=1154393&vType=VERTICAL


'시사&상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뉴어보팅 (tenure voting)이란?  (0) 2019.01.16
빅블러(Big Blur)란?  (0) 2019.01.16
노멀크러시란?  (0) 2019.01.15
헷갈리는 용어 GDP GNP GNI CPI  (0) 2019.01.15
필터버블(Filter Bubble)이란?  (0) 2019.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