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금융셋째입니다.
오늘은 엠커브현상이란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엠커브 현상이란 상당수 여성이 20대초반에
노동시장에 참여하다가 20대 후반에서 30대
중후반 사이에 임신·출산·육아로 인해 경제활동참가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자녀 양육시기 이후 다시 노동시장에
입성하려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취업률의 변화추이가 영문 M자를 닮아서 엠커브현상으로
부르며 경력단절현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여성 인력 사용에 있어 세계적인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캐나다와 스웨덴의 경우 M자가 아닌 U자를 뒤집어 놓은
형태를 보입니다. 엠커브 현상을 줄이고 여성 인력을
활용하려면 국가와 기업이 육아를 함께 부담하며 도와야 합니다.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도 이와 비슷한 상황입니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1988년 45% 수준에서
1997년 49.8%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1997년 이후
49% 수준에서 정체돼 있습니다. 25~34세 연령대
고학력 여성은 직장 내 모성보호의 부족, 육아의 어려움 등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출산·육아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이후 하향 재진입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지난 2004년 보육 업무를 여성가족부로
이관한 바 있습니다. 이후 보육예산이 매년 2,000억 원씩
획기적으로 증액했고, 2004년에 비해 현재 보육료 지원
아동 수는 13만 명 수준으로 증가했지만 아직까지 국민들이
체감하는 보육 서비스는 그 수준이나 다양성 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보육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시키며 건강한 아동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국가와 사회가 함께 장기적 전략을 세우고 실천해 나가야 합니다.
'시사&상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투앱(App to App) 결제란? (0) | 2019.01.13 |
---|---|
유동성 함정이란 (0) | 2019.01.13 |
퇴직연금 DB와 DC 이제 알고 대비하자 (0) | 2019.01.12 |
통화정책에 대해서 (0) | 2019.01.12 |
PG사란? (0) | 2019.01.11 |